Yoon DevLog
article thumbnail

변수

변수란?

변수란 간단하게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하나의 변수에 단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사라진다.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int age;
      string name;
      변수타입 + 변수이름

변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한다. 변수 선언 방법은 위 코드와 같다.

'변수타입'은 변수에 저장될 값이 어떤 타입인지 지정하는 것이고, '변수이름'은 말 그대로 변수에 붙인 이름이다. 

 

int age = 30; // 변수 age를 선언하고 30으로 초기화

int a;
int b;
// 타입이 같은 경우 콤마를 구분자로 여러 변수를 한줄에 선언할 수 있다.
int a,b;
int a=0, int b=0;

변수를 선언한 이후부터는 변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전에 반드시 변수를 '초기화(initialization)'해야 한다. 

 

 

변수의 명명규칙

'변수의 이름'처럼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모든 이름을 '식별자(indentifier)'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한다.

          


1.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다.

-> True와 true는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

2. 예약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 true는 예약어라서 X / True는 가능하지만 지양

3.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4. 특수문자는 '_'와 '$'만을 허용한다


 

예약어는 키워드 또는 리져브드 워드(reserved word)라고 하는데,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문에 사용되는 단어를 뜻한다.

Ex) abstract, default, if, private, public, this 등...

 

추가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프로그래머들끼리 권장하는 규칙은 아래와 같다!

 


1. 클래스 이름의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로 한다.

-> 변수와 메서드의 이름 첫 글자는 항상 소문자로 한다.

2.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이름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 backendDeveloper, photoEditor -> camelCase(카멜케이스)

3.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상수와 리터럴

 

상수

상수(constant)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의 타입 앞에 'final' 키워드를 붙여주기만 하면 된다.

final int SPEED = 200; // 상수를 선언 및 초기화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하는 것이 좋다(JDK 1.6 이전에는 반드시 선언과 초기화를 했어야했다.그러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했다.)

또한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하는 것이 암묵적인 관례이며, 여러 단어로 이루어질 경우 '_'으로 구분한다.

 

 

리터럴

원래 개념적으로는 200과 같은 값들이 '상수'인데, 프로그래밍에서는 상수를 '값을 한번 저장하면 변경할 수 없는 저장공간' 으로 정의하였기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기존 개념 '상수'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야만 했다. 그래서 리터럴(literal)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int year = 2023;
final int MAX_AGE = 100;

// 변수 : year
// 상수 : MAX_AGE
// 리터럴 : 2023, 100

 

 

 

 

 

profile

Yoon DevLog

@usnooy._.

백엔드 개발자 성장일기 -